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유아의 사회적 애착에 대한 영양과 신체접촉 그리고 친숙성의 효과

by ironprincess 2024. 3. 2.

사회적 애착에 대한 영양과 신체접촉 그리고 친숙성의 효과
사회적 애착에 대한 영양과 신체접촉 그리고 친숙성의 효과

애착(attachment)은 유아를 보호자 곁에 남게 만드는 강력한 생존 충동이다. 유아는 편안하고 친숙한 사람에게 전형적으로는 부모가 된다-애착을 하게 된다.

1.영양

오랫동안 발달심리학자들은 유아가 영양분의 욕구를 만족시켜주는 사람에게 애착하게 된다고 추론해왔다.그렇지만 우연한 발견은 이러한 설명을 뒤엎어버렸다.

2.신체접촉

1950년대에 위스콘신 대학교 심리학자인 해리 할로우와 마가렛 할로우(Harry Harlow & Margeret Harlow)는 자신들의 언어연구를 위하여 원숭이를 키웠다. 새끼 원숭이의 경험을 동일하게 하고 질병을 차단시키기 위하여 출생 직후에 어미로부터 격리시키고 위생처리된 개별 우리에서 사육하였는데 여기에는 얇은 무명으로 만든 유아용 담요가 들어있었다.(Harlow 등, 1971). 놀랍게도 새끼 원숭이들은 담요에 강한 애착을 보이게 되었다. 빨래하기 위하여 담요를 가지고 갔을 때, 원숭이는 비탄에 빠져버렸다.할로우 부부는 담요에의 애착이 영양분 공급과 연합된 대상에서 애착이 유래한다는 생각과 상충된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그렇다면 이것을 어떻게 설득력 있게 보여줄 수 있었는가? 영양분 공급의 위력을 담요의 접촉위안과 대비시키기 위하여 두 마리의 인공 원숭이 어미를 만들었다. 하나는 나무 머리를 가지고 있는 철사 실린더였고, 다른 하나는 보풀보풀한 천으로 둘러싼 실린더였다. 우유병을 부착함으로써 어느 대리모이든 영양분 공급과 연합시킬 수가 있었다. 영양분을 공급하는 철사 대리모와 영양분을 공급하지 않는 천 대리모 모두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사육하였을 때, 원숭이는 편안함을 제공하는 천 대리모를 압도적으로 선호하였다. 어머니에게 매달리는 인간 유아와 마찬가지로, 원숭이는 불안할 때 천 대리모에 매달려 있었다. 또한 원숭이들은 천 대리모를 환경 탐색의 교두보로 사용하였는데, 마치 멀리까지 늘어났다가 다시 잡아당기는 보이지 않는 탄력성 있는 끈을 통해서 어미와 연결되어있는 것처럼 보였다. 후속 연구들은 천 대리모를 더욱 매력적인 어미로 만드는 다른 자질들도 흔들리고, 따뜻하고, 젖을 먹이는 등 밝혀냈다. 유아도 부드럽고 따뜻한 부모 그리고 흔들어주고 먹여주며 토닥거려주는 사람에게 애착한다. 부모-유아 간의 정서적 의사소통은 대부분 접촉을 통해서 일어나는데(Herrmstein,2002), 달래주는 것일 수도 있고(껴안기) 각성시키는 것일 수도 있다(간질이기), 인간의 애착은 한 사람이 고통을 받을 때 다른 사람이 안전한 정박지를 제공하고 탐험을 시작하는 안정된 베이스캠프를 마련해 주는 것으로 구성된다. 성숙함에 따라서, 안정된 베이스캠프와 안전한 정박지가 부모로부터 또래와 배우자로 이동한다(Cassidy & Shaver, 1999). 그렇지만 어떤 연령 때에 있든지 간에 우리는 사회적 존재다. 말이든 행동이든 누군가 안전한 정박지를 제공해줄 때 힘을 얻는다. "나 여기 있을게요. 당신에게 관심이 있습니다. 무슨 일이 있든지 간에 당신을 적극적으로 지지할 것입니다" (Crowell & Waters, 1994).

3.친숙성

접촉은 애착으로 향하는 한 가지 열쇠다. 또 다른 것이 친숙성이다. 많은 동물들에게 있어서 친숙성에 근거한 애착은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 즉 출생 직후에 적절한 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특정한 사건이 발생해야만 하는 최적의 시기 중에 형성된다.(Bornstein, 1989). 새끼 거위나 오리 또는 병아리가 부화 직후 몇 시간 내에 최초로 보게 되는 움직이는 대상이 어미가 된다. 그 이후부터 새끼들은 그 대상만을 따라다닌다. 각인(imprinting)이라고 부르는 이렇게 경직된 애착과정은 콘라드 로렌츠(Konrad Lorenz, 1937)에 의해서 연구되었다. 그는 다음과 같은 물음을 던졌다. 만일 새끼 오리가 관찰하는 최초의 움직이는 대상이 로렌츠 본인이라면 이 녀석들이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새끼들은 줄곧 그를 따라다니는 행동을 하였다. 로렌츠가 어디를 가든, 기필코 그를 따라다닌 것이다. 후속 연구들을 보면 새끼 새들이 자기 종에 가장 잘 각인되기는 하지만 다양한 움직이는 대상들에도-다른 종의 동물, 바퀴 달린 상자, 튀어오르는 공 등-각인이 되었다(Colombo, 1982; Johnson, 1992). 그리고 일단 형성된 각인은 되돌리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아동은 새끼 오리가 각인되는 것처럼 각인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아동이 알고 있는 것에 각인된다. 사람과 사물에의 '단순 노출' 이 호감을 조장한다. 아동은 동일한 책을 반복해서 읽고, 동일한 영화를 반복해서 시청하며, 가정의 전통을 반복하고자 한다. 친숙한 음식을 먹고, 친숙한 동네에서 살며, 옛날 친구들과 함께 학교에 다니는 것을 선호한다. 친숙성은 안전신호인 것이다. 친숙성은 만족감을 초래한다.